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잡곡생산.가공과 종합이용

전문가 제언
○ 피(裨, barnyard millet)는 동아시아에서 재배되는 오곡의 일종이다. 원래 수전(水田) 잡초인 이누피인 E. crus-galli(L.) Beauv(1812)를 구황작물로 재배하여 그 영과(潁果)를 곡물로 이용하게 되었다. 피는 아시아 원산으로 옛날부터 한국·인도·중국·일본에서 재배했으며, 현재는 유럽·미국·아프리카에서도 재배한다. 산지나 척박한 땅에서도 잘 견디며 주로 냉수답이나 냉수가 솟는 저습지에서 재배되어 왔다.

○ 피는 단백질·지방·비타민과 같은 영양분이 쌀이나 보리에 뒤지지 않는다. 따라서 정미(精米)하여 밥에 섞어 먹거나 제분하여 떡과 엿을 만들기도 한다. 밀가루와 섞어 빵을 만들고 된장이나 소주의 양조에도 이용한다.

○ 피의 짚은 부드럽고 영양가가 높아서 겨울에는 가축사료로 사용한다. 석회분이 많아서 말에게 먹이면 연골증에 걸리지 않으므로, 일본에서는 말의 사료용으로 널리 재배하고 있다.

○ 메밀 등의 잡곡단백질은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쉬우므로 먹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피 단백질은 알레르기가 유발되지 않으므로 안심하고 쌀밥에 넣어 식량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지금처럼 건강을 중시하는 웰빙 시대에 피는 독특한 생리활성 물질과 식이섬유의 기능을 제공하므로, 새로운 건강식품 소재로서 체계적인 연구가 절실하다. 우리 농가에서 벼의 경작 시마다 피가 많이 부생하여 문제가 심각한데,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시급히 강구해야 할 것이다.
저자
leejaeki. isitan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52(10)
잡지명
食品工業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1~76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