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쌀생산과 쌀밥의기호
- 전문가 제언
-
○ 원래 식생활의 질적 변화는 국민소득향상에 따라 변천된다. 소득이 없을 때는 초근목피로 대변되는 구황식품으로 하는 생존식으로 시작하여 식생활의 인식→식생활의 선택→식도락→식의 예술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중국에서도 한국과 같이 초기에는 식품가치를 배부른 양에서 맛을 위주로 하는 질의 시대로 변천한 역사를 갖고 있다.
○ 중국도 처음 기아시대는 인디카 쌀 위주로 생산하여 이용하다가 소득향상에 따라 자포니카 쌀로 대체되고 있다. 맛좋은 쌀밥이 주식으로 변한데 대한 각종시험과 통계로 증명한 것으로 미리 주식인 쌀 수급 대책을 수립해야 함을 예시해 주고 있다.
○ 그러나 세계 기아(饑餓)인구는 10억2천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고 주요 곡류를 중심으로 농산물의 가격은 2007년에 24% 인상되었고 2008년에 쌀은 톤당 10만 엔을 초과하였다. 이것은 인도나 베트남 등이 쌀 수출을 제한하기 때문이며 저개발 빈국(貧國)에서는 민중의 식량을 구하기 위하여 데모나 폭동을 일으키는 사태가 일어나고 있다.
○ 세계 각국은 식량위기에 미리 대비해 식량 자급률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영국 및 독일은 10여년에 걸친 우루과이 협상기간 동안 식량 자급률이 70-80% 수준에서 식량자급을 달성하였고 일본도 30% 수준의 자급률에서 40%로 높였다.
○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식량난의 상황에서 비교적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자급률이 계속 하강하여 이제 25%수준에 도달하였다. 쌀을 제외한 대부분의 식량을 비롯하여 거의 모든 곡물을 외국에 의존하는 세계 3대 곡물 수입국으로 우리의 식량 수급 방안이 시급히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leejae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52(8)
- 잡지명
- 食品工業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0~57
- 분석자
- 이*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