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제동물 환경반응에 영양통합

전문가 제언
○ 발굽이 있는 유제동물(ungulate) 사슴, 순록, 토끼 등이 우리에게 매우 친숙하게 느껴지는 것은, 사슴의 뿔을 녹용이라 하여 한방에서는 보정강장약(補精强壯藥)으로 쓰이고 사육이 가능하여 농가 경제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 본고는 북쪽 특히 북극의 극한환경에 서식하고 있는 유제동물의 영양 상태와 시즌변화에 따른 에너지대사의 변화를 추구함으로써, 이들 개체군의 유지 방법과 향후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대책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 영양제약(營養制約)의 바이오상황과 환경한계에서 에너지비용과 먹이섭취, 단백요구량은 이들 개체군 생식과 유지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어, 동물컨디션을 유지하는 보디매스, 보디지방 및 보디단백의 적절한 변화와 보충을 통하여 4계절 환경변화에 적응하고 있었다.

? 동물반응에서 에너지와 단백질은 개체군의 운동역학에 밀접한 관계가 입증되었고, 향후 태아발달이나 신생아 생존과 성장에도 모성건강이 매우 중요함이 강조되었으며, 특이한 점은 이들 유제동물의 종과 암수 성에 따라 단백이나 지방의 보디보존이나 재 보충 양상이 차이가 있지만,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처함으로써 개체군이 유지되었다.

○ 유제동물 생태계 연구에서도 확인되었지만, 이들 개체는 본능적으로 먹이자원의 독성물질 함유여부에 따라 적절히 회피하거나 체내에서 해독능력을 갖고, 더욱 중요한 것은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오염물질에는 치명적인 손상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환경에서는 약탈자에게 노출되어 우리가 기대하는 유제동물 방사의 개체군 증가는 기대하기 곤란하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저자
K.L. Parker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23(1)
잡지명
Functional Ec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7~69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