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에서 주의하여야 할 감염관리
- 전문가 제언
-
○ 고령자는 노화에 의해서 보다 생체기능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성인하고는 특징이 다르다. 때문에 약사가 고령 환자에 관여하는 경우, 고령자의 특징을 충분히 유의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효율적인 약물요법을 지원하게 된다.
○ 고령자의 특징으로는 노화의 정도는 개체의 차가 심해서 그 진행이 빠른 사람도 있고 젊음을 지키고 있는 사람도 있다. 또한 병태에서는 다양한 기왕력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질병이 합병되고 있는 것이 많으며, 그런데도 각각의 질환이 독립해서 있는 것도 있지만 관련되어 복합적인 병태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 고령자 증상으로는 증후가 나타나는 것이 비정형적으로 개인차가 심하며, 원인요법을 이행하기 전에 대처요법을 이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가 다제로 되기가 쉽다. 또한 고령자는 노화로 인해 약제의 부작용이나 과잉작용을 일으키기 쉬운 상태로 되기 때문에 성인에 비해서 투약 설계에 주의를 요한다.
○ 약물치료 모니터링은 약물이 가진 약제정보, 환자로부터 얻어지는 주관적인 데이터(환자 인터뷰, 진료부, 간호기록)·객관적 데이터(검사기록, 약물혈중농도 모니터링)를 파악하여 정리함으로써 문제점을 밝히는 수단이 된다. 특히 고령자에게 유용하며 이것을 기반으로 하여 종합적으로 적절한 약제관리를 수행하여야 한다.
○ 의약품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항균약이 주로 간장과 신장에서 대사 및 배설하게 되므로 고령자는 신장 및 간장 기능이 저하되어 항균약제의 사용시에는 약물동태학-약역학(Pharmacokinetic-Pharma -codynamics : PK-PD)개념과 안전성도 염두에 두고 약제의 용량과 용법의 설정이 필요하다.
- 저자
- Yoshisu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60(6)
- 잡지명
- 藥局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587~2593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