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분해성과 생체안정성을 가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블록공중합체의 결정화 및 모폴로지
- 전문가 제언
-
○ 앞으로 멀지 않은 장래에 현재 사용되는 바이오의학에서 생체의 치료나 손상된 조직의 재생 등 치료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생분해성이나 적어도 비분해성의 생체적합성 재료로 대체될 것으로 예견된다.
○ 이러한 목적에는 생분해성이나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불록공중합체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블록공중합체의 성질이나 기능은 화학구조, 결정화도와 마이크로 도메인의 모폴로지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러한 블록공중합체는 매우 복잡한 상 분리 거동을 통하여 얻어진다. 그러므로 이들의 거동을 이해하지 않으면 특정한 용도에 맞는 재료를 얻기 어렵다.
○ 생분해속도와 약품방출 속도는 블록공중합체의 조성, 모폴로지와 블록 결정화도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므로 공중합체의 모폴로지와 결정화도의 제어가 매우 중요하며 중합 파라미터를 적절히 제어하여 블록공중합체의 성분비를 조절하여 특정한 용도에 적합한 고분자 재료를 획득할 수 있다.
○ 최근 몇 십년간 락티드, 글리콜리드, ε-카프로락톤과 p-디옥사논과 같은 생분해성을 보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기계적 성질이나 치료용 재료로서 적합하여 바이오의학용 재료로 큰 주목을 받아 왔다. 이러한 생분해성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비분해성 고분자의 존재에 의해 일시적으로나 또는 영구적으로 그 기능의 유지된다. 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에 적당한 공단량체를 사용하여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하면 다양한 물성을 가진 고분자 재료가 얻어지므로 이로부터 특정한 목적의 치료용 생분해성 내지 생체적합성 고분자 재료를 얻을 수 있다.
○ 본고에서는 1996년 이후 10여 년간에 발표된 한 성분 이상이 결정화가 가능한 생분해성 및 비생분해성의 생체적합성을 가진 블록공중합체의 결정화와 모폴로지에 관련된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있어서 앞으로 성장이 기대되는 연구분야에 귀중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 저자
- R.V. Castill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34(6)
- 잡지명
- Progress in Polym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16~560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