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OLED에 의한 광 무선통신의 가능성

전문가 제언

○ 오늘날 CRT(Cathode 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포함하여 많은 종류의 디스플레이가 출시되고 있다. 최근 발표된 OLED는 LED와 유사한 발광 메커니즘을 갖고 있지만 전극에서 각각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유기분자 내에서 재결합하여 분자 하나하나가 발광하기 때문에 LED에서처럼 백라이트가 필요 없고 면 발광으로 시야각이 넓으며 외부 충격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 OLED의 연구는 1987년 미국의 Eastman Kodak사의 C.W.Tang이 다층막 유기발광 소자를 발표하면서 비롯되었다. 1998년 일본의 Pioneer사에서 이를 용용한 카오디오 제품을 만들어 출시한 바 있다.

○ 본고는 이러한 OLED의 디스플레이로서의 기능 외에 다기능 발광소자 및 수광 소자로서의 가능성을 검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를 광통신에 응용하기 위한 시도로서 발광소자의 주파수 특성, 수광 소자로서의 입사광 강도에 따른 기전력과의 유의성 관계 등을 측정하여 OLED의 양방향 광통신 소자로서의 역할과 그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는 면 발광, 광 시야각, 높은 내충격성, 긴 수명, 낮은 구동전압, RGB 컬러 선택의 용이성, 풀 컬러화 가능, 가볍고 친환경적이라는 것 등의 많은 장점 때문에 디스플레이로서 크게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 외에도 박막화가 가능하여 휘거나 접을 수 있고, 고휘도, 빠른 응답속도 등의 이점이 있어 광통신 소재로 응용될 때 영상분야 못지않게 통신기술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Masayoshi KANDA, Shinichiro HARUYAMA, Masao NAKAGA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8
권(호)
32(52)
잡지명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技術報告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55~59
분석자
홍*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