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중생산과 자연자원의 효율적 이용

전문가 제언
○ 본문이 다루는 다중생산은 복수의 제품을 하나의 에너지원으로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발전소의 잉여 열로 지역난방에 사용하거나 여기에 흡수냉각기를 추가 설치하여 냉방에도 이용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장 뚜렷한 예가 될 것이다.

○ 본문에서는 세 가지 다중생산을 예로 들어 사례연구를 하였다. 즉 사탕수수 공장, 전력생산에서 남는 잉여 열을 이용한 지역 냉?난방의 삼중발전 시스템, 그리고 해수 탈염공장에서 전력생산에서 나온 폐열을 이용한 담수화이다.

○ 우선 사탕수수 공장에서 잔여물(bagasse)을 아주 오래 전부터 열원으로 이용해 왔다. Bagasse는 바이오매스이므로 그 연소는 탄소 중립적이다. 즉 대기가 근원인 탄소의 대기 중 배출이므로 이는 자연계의 탄소순환으로 보아야 한다. 이것이 옥수수로부터 생산되는 바이오 에탄올(주로 미국에서 생산되는)이 순수한 휘발유에 비하여 불과 1.2%의 CO2 배출을 절감하는데 비하여 사탕수수 에탄올은 56%나 절감하는 이유이다.

○ 본문은 이 Bagasse를 가스화 등 첨단기술에의 연결을 검토하였다. 이 경우 판매 가능한 잉여 전력의 생산으로 수익은 증대되나 본문이 가정한 다량의 잔여물의 수입은 반드시 실현될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 즉 다른 공장에서도 잔여물을 열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 전력과 난방 그리고 냉방의 동시 생산은 많이 검토된 과제이다. 그러나 실제 운영에서 난방의 수요, 또는 냉방의 수요가 실제 전력수요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는데 문제가 있다. 전력이 많이 생산될 때 난방 또는 냉방 능력도 확대되나 실제 수요는 그렇지 않다.

○ 탈염공정에서 다중생산 시스템의 적용 예는 구상의 제시에 한정하였고 그 결과를 계량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두산중공업은 탈염 설치 용량에서 세계 최대의 실적을 가진 회사이다. 특히 이 회사가 열 공정에 치중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이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면 크게 참고가 되었을 것이다.
저자
Serra, L.M., Lozano , M.-A., Ramos , J., Ensinas, A.V., Nebra, S.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34
잡지명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75~586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