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개방형/폐쇄형 산업 클러스터와 혁신의 사회적 구조

전문가 제언
○ 이 글은 “개방형/폐쇄형 산업 클러스터와 혁신의 사회적 구조”를 주제로 하여 클러스터와 지식 및 혁신, 클러스터와 클러스터링, 혁신, 클러스터에 있어서 사회적 상황과 혁신, 클러스터의 유형과 사회적 구조, 주요 논점 및 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클러스터에서의 혁신과 지식 창출에 보다 도움이 되는 사회적 구조의 유형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 클러스터는 대학, 연구소, 기업 기타 지원 기관이 특정 지역에 모여 네트워크 구축과 상호 작용을 통해 사업 전개, 기술 개발, 자재 조달, 인력 및 정보 교류 등에서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키는 산업 집적지로서 지식 창출과 혁신을 촉진시키며, 클러스터의 수준은 기업 활동 여건을 집약적으로 나타내는 바로미터이다. 클러스터는 혁신이 한 기업의 내부에서 독자적으로 이루어지는 폐쇄형과 기업 외부의 기술, 아이디어 및 인력을 활용하여 제품 개발에 연결시키는 개방형이 있는데, 특히 개방형 클러스터는 기업의 내부 역량을 강화시킨다.

○ 오늘날은 기업 간 경쟁에서 클러스터 간 경쟁으로 바뀌고 있어 클러스터의 패러다임에 의한 지역 산업 혁신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각 국가는 클러스터가 국가 경쟁력의 관건임을 인식하고, 각종 클러스터 정책을 추진해 왔다. 특히, 중국, 싱가포르는 정부 주도하에 경제특구 형태의 클러스터를 조성하였다. 산업 클러스터는 무진장한 혁신의 원천으로 여겨지고, 클러스터링 경제는 관련 네트워크 간에 정보, 지식 및 기술 이전을 촉진하면서 경쟁을 조장한다.

○ 우리나라는 이 글에서 시사된 바와 같이 클러스터의 형성을 통해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고, 기업 경쟁력을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 클러스터 유형에 적합한 발전 전략의 전개, 민관 협력 및 산학연 연계 강화, 주체별 역할 분담과 네트워크 및 협력 체제의 구축을 주요 정책 과제로 설정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국내 산업 클러스터 간 연계를 강화하고, 선진국 산업 클러스터와의 교류를 활성화하는 등 개방형 클러스터가 확대되고, 흡수 능력에 연계되게 하는 환경 조성에 정부의 관심과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저자
Manuel Portugal Ferreira, Fernando A. Ribeiro Ser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8
권(호)
{(})
잡지명
globADVANTAGE Center of Research in International Business & Strategy WORKING PAPER Nº 24/2008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29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