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공 단백질 센서
- 전문가 제언
-
○ 나노 공(nanopores)은 폴리펩티드의 여러 가지 특징들, 예를 들면 단백질의 형태, 골격의 탄력성, 물리적인 안정성, 기질과의 결합력, 효소활성 등을 알아낼 수 있는 다재다능한 탐침이다. 더구나 단백질 나노 공(孔) 분야의 기초는 세포막의 단백질 통로를 통해 단백질들이 이동되는 생체물리학 법칙을 발견하는 새로운 기회가 되고 있다.
○ 저항성 펄스(Resistive-pulse) 기술을 이용한 작은 분자나 생체 고분자의 불규칙한 이동을 감지하는 분야가 크게 확장되고 있다. 이 감지 센서들은 나노 공 내부에 특정 생체분자와 결합하는 반응기를 붙여놓으면 그 특정 생체분자가 나노통로를 통과할 때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결합되면서 전기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측정하는 원리이다. 이런 전류의 차단현상은 생체분자에 의해 나노통로가 막힘으로써 이온들의 자유로운 흐름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 나노 공 센서의 선결조건은 튼튼한 단백질 구조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최근의 단백질 구조학과 구조 생물학의 연구에 따르면 β-barrel(가운데가 불룩한 구조)의 세포막 나노 공이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킨다. 많은 β-barrel 단백질들 중에서 포도상 구균의 α-hemolysin(αHL) 단백질은 여러 악조건에서도 견딜 수 있는 가장 튼튼한 나노 공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은 이중 지방질 막에 종으로 삽입되어 있을 때 95도의 온도에서도 안정하였고, 전도성도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유전공학적인 방법으로 천공 안쪽의 아미노산들에 대해 조작이 가능했다.
○ 단백질 나노 공의 내경(~20 A)보다 서너 배 큰 구형 단백질의 경우, 천공을 빠져나가려면 단백질 분자가 부분적으로 풀어지든가 어떤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이에 대한 실험 결과는 첫째, 천공보다 큰 단백질 분자도 수양액상(aqueous phase)으로 통과될 수 있다. 둘째, 결합 친화력이 각각 다른 단백질들에 대해 각각 측정해 낼 수 있다. 즉 큰 구형단백질은 그만큼 큰 전위차가 발생된다. 셋째, 결합하는 단백질의 하나의 분자를 포착하는 경우는 막의 trans 쪽보다 cis side에 훨씬 확률이 높다.
- 저자
- Liviu Movilean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27(6)
- 잡지명
- Trends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33~341
- 분석자
- 장*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