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센서 계측기술의 동향
- 전문가 제언
-
○ 산업이 발달하고 체계화, 자동화될수록 각종 센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다. 오늘날 자동으로 제어되는 모든 기기에는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사람은 오감으로 느끼고 판단하지만 기기는 감지부와 신호처리부로 나누어져 있고 취득한 데이터를 실사용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변환시켜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본고는 일본 철도에서 시스템의 자동화를 추진함에 있어서 각종 센서를 이용하는 사례와 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행되는 각종 서비스를 위한 센서의 종류와 센서 계측기술의 적용사례를 고찰한 내용이다.
○ 최근에는 센서가 감지하는 능력뿐 아니라 스스로의 위치를 확인해서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철도에 있어서 위치정보는 대단히 중요하다. 지형정보나 위치정보는 만일의 경우 사고발생시 긴급대처를 위한 수단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 센서 계측기술은 철도뿐만 아니라 건축 구조물에도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7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교량, 터널, 항만, 공항 등 사회 기반시설물이 대량으로 증가했지만 급속한 건설로 인해 부실시공, 사용내구연한 감소 등의 문제점이 노출되기도 했다. 이러한 건축물에서도 센서는 노후화 정도나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미리 감지하여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기반시설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철도, 교량, 터널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동화된 계측기술과 원격 센싱이 선결되어야 한다. 센서와 계측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구조물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삶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저자
- Gotou KOUIC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8
- 권(호)
- 19(12)
- 잡지명
- 鐵道と電氣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9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