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양과 대기 경계층의 유황화합물 생성

전문가 제언
○ 유황은 산성비, 기후변화 등 많은 환경이슈의 중심에 있다. 과거 20년 동안 산업부문에서 유황화합물 배출은 세계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하지만 인위적인 유황의 배출은 자연 방출량의 2~3배가 된다.

○ 연료연소로 발생하는 SO2, 광물의 처리, 바이오매스의 연소 등 인간의 활동이 유황 순환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자연적인 유황공급원으로 식물플랑크톤의 황화염 동화작용으로 방출되는 DMS 가스, 화산폭발과 연기배출 등이 있다.

○ 본 원고는 대기 중의 유황 순환, 특히 해양과 대기 경계층의 현상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지표의 황산염 에어로졸 습성침적과 이산화황의 건성침적, 그리고 구름 속의 아황산가스 산화 등이 지구의 유황 순환 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 에어로졸은 지구표면에 도달하는 태양복사에너지를 흡수 또는 산란시키며, 구름의 형성 및 구름 수명에도 영향을 주어 복사평형에 불균형을 초래함으로써 세계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 지구의 유황 순환이 인간에게 큰 영향을 주고 있지만 우리가 아직 정확하게 이해, 예측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으며, 에어로졸이 환경시스템과 기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많은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 대기 중에 오래 잔류하고 잘 섞이는 온실가스와 달리 유황화합물의 수명은 길지 않고 에어로졸은 제거가 잘 되는 편이므로, 지역의 대기상태와 기후를 알기 위해서는 유황방출의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
Ian Faloon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43
잡지명
Atmospheric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841~2854
분석자
윤*량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