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의 국가혁신시스템의 변화에서 공공연구조직의 역할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는 영역연구에 대한 자문위원회(the advisory board for sectoral research)가 2008년 11월에 핀란드 내에 국가혁신시스템의 변화에 따른 공공연구조직(Public Research Organization; PROs)의 역할에 관한 연구를 처음 시도한 내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핀란드가 직면하고 있는 실질적 변화와 공공연구조직에 대한 분석적 정보를 생성하고 현 위치를 앎으로 해서 지식부족에 대응하는 한편, 지식의 괴리(乖離)를 식별하고 주제와 관련한 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OECD 프로젝트 “공공연구소의 탈바꿈 분석”의 시작으로써 영역연구에 관한 핀란드에 관한 배경정보를 제공하며, 추가적으로 핀란드 내에 영역연구의 개발과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영역연구자문위원회, 내각 및 영역연구조직에 정보를 제공한다.
○ 본 연구는 핀란드 내 직면하고 있는 주제를 토의하고 있다. 즉, (1)우리는 공공연구조직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으며 주 연구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2)공공연구조직의 역할과 기능은 무엇이며, 왜 우리들은 공공연구조직이 필요한가? (3)공공연구조직의 영향에 관해 우리는 무엇을 알고 있는가? 그리고 성과정보와 관련하여 주 도전 사항은 무엇인가? (4)핀란드 내에 공공연구조직을 우리는 어떻게 지배하고 있는가? 그리고 지배에 관련하여 주 도전 사항은 무엇인가?
○ 추가적으로 (5)핀란드 내에 영역연구에 관한 현재 모델은 무엇인가?, (6)공공연구조직의 국제화는 무슨 수단으로 달성할 수 있는가? 다시 말하면 공공연구조직이 국가적 행위자로부터 세계적 행위자로 전환하는 수단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상기 주제에 관해 해결하기 위한 문제점을 밝히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즉, 지식부족, 역할과 임무, 연구 환경변화, 영역의 요구사항, 조정과 지배의 프레임워크, 목표와 영역을 연결시키는 메커니즘, 영향평가수단, 국제적 공동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고 있다.
- 저자
- Kirsi Hyytinen, Torsti Loikkanen, Jari Konttinen and Mika Niemine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9
- 권(호)
- .(.)
- 잡지명
- Report of the Advisory Board for Sector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60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