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활습관병 치료의 Target분자「PPAR」

전문가 제언
○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인슐린 저항성이나 내장비만에 의하여 당뇨병, 고혈압, 지방대사 등의 관위험인자가 축적하는 병태이다. 운동이나 식사요법 등의 요양 지도를 계속 행하여 대사증후군의 발증을 장기에 걸쳐 예방 관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 최근 지방세포 분화조절의 주 전사인자인 PPARγ를 thiazolidine으로 활성화함으로써 인슐린 감수성이 항진하고, 당?지질대사가 개선되는 것을 보고하였다. PPARγ의 활성화는 혈관 벽에서도 항염증?항산화작용을 발휘하고, 동맥경화증에 대하여 보호적으로 작용한다.

○ PPAR은 세포 내의 peroxisome의 증생을 유도하는 수용체로 아프리카 개구리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당?지질대사나 세포의 분화와 밀접히 관계하고 있는 유전자군의 발현을 조절하는 핵 내 수용체형 전사인자이다. PPARα는 유리지방산이나 leukotriene B4 등을 생리적인 배위자로 하여 활성화한다.

○ Fibrate는 PPARα를 표적분자로 하여 lipoprotein lipase를 활성화하며, 한편 mitochondria에서 지방산의 β 산화를 촉진하고 혈중의 중성지방의 수준을 내린다. Thiazolidine이나 fibrate는 PPAR 표적약으로 사용되며 생활습관병을 관리하고 대사증후군환자에 있어서 심혈관질환 위험을 감소시킨다.

○ 최근 glitazone이나 선택적 PPARγ 활성화작용을 가지는 telmisartan의 투여에 의하여 내피세포, 간세포에 RAGE(Receptor for AGE)의 발현이 억제되어 AGE(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에 의한 정보전달이 차단되는 결과 동맥경화관련 유전자나 산화스트레스, 염증표식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알았다.
저자
yamauau 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60(2)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02~207
분석자
김*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