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포 사이의 신호전달에서 희귀한 O-글리칸의 역할

전문가 제언
○ 세포 사이의 신호전달은 대사나 유전자 발현과 같은 세포의 활성을 조절하고 세포활동을 조화시키는 복잡한 통신체계의 일부다. 환경을 인식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세포의 능력은 발생, 조직수선, 면역반응 및 조직항상성의 기초가 된다.

○ 세포는 3가지 방법으로 통신한다. 즉, 인접한 세포 사이의 직접적 접촉에 의한 신호전달(juxtacrine signaling), 근거리 신호전달(paracrine signaling), 또는 원거리 신호전달(endocrine signaling)을 통한 통신이다.

○ 노치 신호전달( notch signaling)은 이웃한 세포 사이의 직접접촉에 의한 신호전달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노치의 EGF 반복단위(epidermal glowth factor - like repeat)에 있는 희귀한 O-fucose glycans가 신호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노치 EFG 반복단위의 O-glucose가 노치기능에 필요하다는 사실이 최근에야 발견되었다.

○ EGF 반복단위와 비슷하게 TSR(thrombospondin type 1 repeat)도 O-푸코실화가 일어나며 글루코실전이효소에 의해 푸코오스에 글루코오스가 결합한다. O-푸코오스 글리칸 이외에도 TSR에 있는 트립토판이 만노오스와 탄소-탄소 결합으로 희귀한 글리칸을 형성한다.

○ 노치 신호전달 과정은 세포간 통신에 매우 중요하며 이 신호전달은 배아와 성인이 살아가는 동안에 다세포 분화 과정을 조종하는 유전자 조절 메커니즘과 관련된다. 많은 암에서 노치 신호전달이 잘못 조절되며, 노치 신호전달의 결함은 백혈병, 다발성 경화증, 그리고 많은 다른 질병과 관련된다. 탄수화물이 세포의 생리작용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사실들이 새롭게 발견되므로 탄수화물이 많은 주목을 받으며 질병과 관련된 이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저자
Kelvin B. Luth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41
잡지명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011~1024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