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영양학과 생태학의 통합골격

전문가 제언
○ 미생물을 포함한 모든 동식물의 생태계는 그들 생존에 필요한 적절한 영양공급 없이는 형성될 수 없어서 최근에는 영양과 생태학을 결합하여 결과를 도출하려는 노력이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어 생물학과 특히 환경생태학에서는 이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 뉴질랜드 Massey 대학교 D. Raubenheimer 교수 연구팀은 최근의 이러한 움직임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검토된 각종 골격의 모델에 대한 장단점 검토와 함께 향후 연구방향이 될 수 있는 이 연구팀의 의견도 피력함으로써 관련 연구자들에게는 훌륭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최적채집이론(OFT: Optimal Foraging Theory), 전형적인 곤충영양생태학(CINE: Classical Insect Nutritional Ecology), 기하학적 골격(Geo- metric Framework), 생태화학량론(Ecological Stoichiometry) 등이 생태학과 영양학 연구의 주요 골격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이들 모델의 주요 파라미터를 통합하거나 세분하는 등 일련의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 특히 최근에는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지구온난화가 크게 이슈가 되고 있어서 생태계와 영양관계의 먹이사슬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어 단순한 영양학과 생태학의 접목으로 끝날 사안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 본고에서 알 수 있듯이 과거에 추구하던 각 연구 분야나 최종 연구목표는 항상 수정되지만 궁극적인 목표는 우리의 자연환경을 안전하게 보전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는 길일 것이다.
저자
D. Raubenheimer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23(1)
잡지명
Functional Ec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16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