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질 바이오매스의 수송용 연료제조 인벤토리 분석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매스기술은 인류역사와 함께 이용하고 있는 잘 알려진 기술이며, 부존자원 량도 막대하고 특히 온실가스 감축시대를 맞아 주요 신재생 에너지원의 하나가 되고 있다.
○ 더욱이 열대우림이 개발에 의해 잠식되면서 세계 각국은 자연림의 훼손을 막기 위해 속성수를 개발하여 조림에 나서고 있으며 에너지작물로써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 이러한 에너지작물로는 팜 나무, 자트로파, 유칼립투스 등이 있어서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서 대규모 조림에 나서고 있으며 선진국을 비롯하여 주요 에너지수입국은 자국의 에너지원 확보를 위해 해외에 대규모 조림을 추진하고 있다.
○ 이 글은 서 호주 지역에 대규모 유칼립투스 조림지역을 확보하고 인근에서 에탄올을 비롯한 액체연료를 생산하여 일본 국내에 수입, 유통시키기까지의 전 과정을 평가한 결과 CO2 감축과 에너지소비 측면에서 이점이 있음을 보여준다.
○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브라질 및 필리핀과 협조하여 대규모 해외 플랜테이션을 추진하고 수송용 바이오연료의 확보 및 보급을 계획하고 있다. 현재 BD5, BD20 등 수송용 바이오연료의 혼합사용을 권장하는 수준에서 향후 의무사용까지 검토하고 있다.
○ 현재 에너지작물의 공급지는 동남아와 중남미 등 열대 및 아열대 지방이 거론되고 있는데 바이오매스의 특성상, 특히 해상수송비의 비중이 큰 점을 고려해서 해당국가의 정정불안 등 외부변수가 없다면 상대적으로 운송거리가 가까운 동남아지역을 집중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Kiyotaka TAHARA, Yuya TSUTSUMI, Akihiro YAMASAKI, Shigeo SATOKAWA, and Toshinori KOJI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88
- 잡지명
- 日本エネルギ―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05~212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