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글로벌변화 생태계에서 토양 탄소역학 조절자로서 균근균의 위장 분해

전문가 제언
○ 우리 생태계는 고등 동식물을 비롯하여 미생물에 이르기까지 토양의 이화학성과 보조를 맞추면서 놀라울 정도로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더욱이 미생물과 토양 중 탄소화합물 및 생태계 간의 관계를 심도 있게 관찰하면 아직도 우리가 미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이 속속 발견되고 있다.

○ 미국 California 대학 Irvine 캠퍼스 Talbot 연구팀은 글로벌 변화하의 생태계에서 토양 탄소 운동역학을 조절하는 균근균(mycorrhizal fungi) 기능과 역할을 본고를 통하여 소개하면서 이들이 제시한 3가지 가설 메커니즘도 소개하고 있다.

? 토양에 서식하는 각종 미생물 종류와 그 분류군도 매우 다양하지만 균근균이 크게 주목받는 것은 토양 유기물 분해에 깊이 관여하면서 글로벌 변화와 같은 외부환경에도 적절히 대처하는 능력이 있어 토양 탄소균형이나 분해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 본 연구팀이 제시한 탄소균형에 기여하는 3가지 가설의 메커니즘은 기주식물로부터 광합성 산물의 공급이 적거나 이용이 불가하면 토양 유기탄소를 대체 탄소로 분해한다는 것이다.

? 또한 동시분해자일 가능성으로 토양 탄소를 양분으로 채취하기 위한 분해 메커니즘이며, 점화효과(Priming Effect)로 식물 광합성 산물 일부가 균근 뿌리에 축적되면 토양 탄소를 분해한다는 것으로 모든 가설이 설득력이 있어 향후 학계반응이 주목되는 사항이다.

○ 우리가 본 연구에 주목해야 할 것은 글로벌 환경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미생물계에서는 인간이 피부로 느끼는 변화보다 수천~수만 배로 예민할 수 있어 이들을 기본적으로 보전해야 우리가 추구하는 자연환경도 보전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J. M. Talbot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8
권(호)
22(6)
잡지명
Functional Ec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955~963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