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도상국의 원자력발전 도입과 IAEA의 지원활동
- 전문가 제언
-
○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1953년 미국 아이젠하워 대통령에 의한 UN총회 연설 “Atom for Peace”를 계기로 1957년에 창설되었다. IAEA는 원자력의 평화이용을 촉진하고, 군사전용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한 보장조치를 실시하는 국제기관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가맹국은 144개국이고 그 조직은 총회, 이사회, 그리고 사무국으로 되어 있고, 본부는 오스트리아 Wien에 있다. 이사회는 35개국의 이사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 현재 세계에서 30개 국가가 원자력발전을 하고 있고, 새로 60개국 이상의 개발도상국이 에너지소비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에너지안보, 화석연료 가격에의 관심, 환경문제에 대한 고려에서 원자력발전 도입을 고려하고 있고, IAEA에 이것을 위한 인프라정비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여기서는 원자력발전 이용 확대의 움직임, 확대와 신규 도입 과제와 이것에 대처하는 IAEA의 역할과 구체적인 지원활동으로서 기술협력 프로젝트의 개요를 기술하고 있다.
○ 공통과제로서 개발도상국은 원자력발전을 안정적으로 또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법체계 등 기초적인 대처나 국내 산업체제의 인재와 자금 확보 등 기초적인 인프라 정비가 필요하다. IAEA는 “평화적 이용을 위한 원자력연구, 개발 및 실용화를 장려하고 또 원조”할 의무를 갖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원자력발전 도입 계획이 안전, 안보 및 핵확산의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실시되도록 지원하고, 계획이 성공리에 달성되는 것을 확인하고, 또 개발도상국이 자립적으로 계획을 입안 실시하여 성공리에 원자력발전을 운영할 수 있게 협력한다.
○ 한국은 20기의 각종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의 일반적으로 양호한 가동 실적과 경험은 앞으로 새로 원자력발전을 도입하고자 하는 개발도상국가에게는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원자력발전소 건설과 운영에 대한 우리의 지식과 경험이 앞으로의 원자력발전소 수출에 있어서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자
- Omoto, 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9
- 권(호)
- 51(5)
- 잡지명
- 日本原子力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96~401
- 분석자
- 문*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