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카 일렉트로닉스의 동향 및 장착기술

전문가 제언
○ 최근에 자동차의 전자화가 급속도로 진전되어 자동차 가격에서 차지하는 카 일렉트로닉스 제품의 비율이 점점 증대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신뢰성을 평가할 때 각종 전자제품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자동차용 전자제품은 엄격한 온도, 습도, 진동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전자제품의 신뢰성의 중요성을 고려하면서 이에 따른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 대표적 사례로 VDIM(Vehicle Dynamics Integra- ted Management), ECU 등을 들 수 있다.

○ 본고에서는 카 일렉트로닉스의 도입 분야, 카 일렉트로닉스 제품에서 요구되는 신뢰성, 카 일렉트로닉스 제품의 기본 구성 및 사례, 카 일렉트로닉스에서의 무연(無鉛) 대응 현황 등을 중심으로 카 일렉트로닉스의 동향 및 장착기술을 고찰하였다.

○ 자동차의 전자화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처음에 점화계통의 전자화가 시작되었으며 그 후 레귤레이터의 제어부가 전자화되었다. 1972년에 독일이 세계 최초로 전자제어식 연료분사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1973년에 일본에서 이 기술이 실용화되었다. 제어부분의 전자화가 발전하게 된 것은 자동차에서의 환경, 안전, 쾌적성 및 편리성 등을 실현하였기 때문이다.

○ 자동차에서 카 일렉트로닉스 제어를 실현하는 전자제품은 자동차의 제한된 공간 내에 탑재되므로 경량화, 소형화 기술이 카 일렉트로닉스 기술의 핵심기술이다. 또한 일부 전자제품에서는 박형화(薄形化) 기술도 요구되고 있다.

○ 자동차용 전자제품군을 지원하는 것이 반도체 디바이스이며, 반도체 기술의 주요 특징은 (1)내구성이 강하고, (2)소형으로 사용하기 편리하며, (3)디바이스의 복합화가 가능하고, (4)내 잡음성이 강하며, (5)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것 등이다. 따라서 반도체 기술의 특징을 응용한 카 일렉트로닉스의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Kamiya Arihir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8
권(호)
47(10)
잡지명
電子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16~22
분석자
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