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화소 매칭에 의한 고속 2차원 움직임 검출 이미지센서의 시작과 평가
- 전문가 제언
-
○ 오늘날의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는 컴팩트 카메라에서부터 고급형의 DSLR까지 자동초점(AF : Automatic Focus)기능을 가지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의 자동초점 기구는 주로 콘트라스트 검출방식과 위상차 검출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3차원 공간에 있는 피사체가 항상 정지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며 고속으로 움직이는 피사체의 경우 자동 초점조정이 어려워지게 된다.
○ 영상은 입체공간에 있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2차원 평면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움직이는 피사체의 2차원 평면에서의 이미지를 단일화소 매칭법에 의해 프레임 간격을 제어하고 이미지를 검출하는 프로토타입 스마트 이미지센서를 시험?제작하여 그 응용성을 평가한 것이다.
○ 각종 사건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실에서 감시용 CCTV는 범죄방지를 위한 대안의 하나로 도입되었다. 최근에는 CCTV에서 범죄유발 가능성이 있는 행동양상을 구분하고 경보를 발신하는 기술이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사후분석을 위해서는 고속으로 움직이는 목표물의 정확한 이미지 포착이 중요하므로 이러한 곳에서도 본 센서의 적용이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조도 상황에서는 윤곽의 불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이미지 검출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촬상면에서 영상의 고속 움직임에 대한 검출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고 저속의 움직임까지도 검출이 가능해진다면 다양한 속도의 동체포착이 보다 빨라지고 이를 이용한 시스템적인 활용이 증대될 수 있다. 앞으로 이미지 처리 분야에서의 활용성이 기대된다.
- 저자
- Atsunori SHIKINO, Kenichi NAKAYAMA, Toshiyuki SUGITA, Takayuki HAMAMOTO, Kazuya KODA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8
- 권(호)
- 32(45)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技術報告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61~66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