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적은 silencing RNAs의 근황

전문가 제언
○ miRNAs는 1993년에 이미 발견되었으나 1998년에 Andrew Fire와 Craig Mello가 RNAi라는 이름으로 적은 dsRNAs가 유전자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표하여 노벨상을 수상하게 된다. 적은 이중쇄 RNAs에 의해서 특정한 유전자가 묵살되는 소위 RNA간섭(RNAi)에 대한 분야는 지난 10년 전에 시작해서 이제는 성숙기에 들어서고 있다.

○ 지금이야말로 임상실험의 결과가 나오고 있으며 RNAi 약물이 감염질환과 유전병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반면 연구자와 임상가들이 기대했던 흥분이 가시기도 전에 한편에서는 기대하지 못했던 결점에 대해서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처음에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인공적인 RNAi가 특정하게 작동하지도 않고 면역반응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 이 리뷰에서는 생체에 RNAi의 적용에 대한 위험성이나 부작용에 대한 논의도 하고 있으나 미래는 RNAi가 강력한 생물의학의 도구가 될 것이라고 결론내리고 있다. 다만 RNAi에 대한 기대를 빠르게 충족시키고 확대하기 위해서는 RNAi-에 기초한 새로운 실험방법과 임상에 적용하는 기술도 진전되어야 하며 그중의 몇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 즉 이중기능 혹은 비대층과 같은 새로운 siRNA를 설계하는 일, 핵 전사조절에 적은 RNA를 직접 이용하는 것, 적은 머리핀 RNA(shRNA)의 발현을 위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만드는 일, 내인성 miRNAs로 전이된 유전자를 조절하는 일, 벡터의 주성(tropism)을 이용해 발현을 조절하는 일, 질환과 관련이 있는 세포의 miRNAs를 억제하는 일에 대해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저자
Dirk Grim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61
잡지명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72~703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