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점토의 물성, 제법 및 용도
- 전문가 제언
-
○ 나노복합체는 나노기술 중에서 비교적 많이 개발된 분야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고분자 나노복합체 개발에 필수적인 재료인 유기점토(organoclay)의 성질, 제조방법, 용도를 지금까지 발표된 유기점토 제조와 관련된 주요 보고서 69편의 문헌을 통계적인 관점에서 리뷰 하였다. 유기점토 연구를 개관하면서 새로운 유기점토의 제조 및 특정 용도에 적합한 유기점토를 선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리뷰라고 생각된다.
○ 점토광물(clay minerals)은 각종 유기화합물과 친화성이 있으므로 다양한 안정성과 물성을 갖는 유기점토를 만드는데 이용된다. 점토광물의 층 사이에 유기분자를 삽입하는 연구는 192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나 나노기술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유기점토에 대한 연구도 많은 발전을 보였다.
○ 우리나라에서는 정제된 점토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MMT)를 유기화하는 연구와 유기점토를 고분자에 분산시켜 복합체를 개발하고 이를 응용하는 연구가 나노기술 개발정책에 힘입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 국내에 매장되어 있는 MMT광을 대상으로 고순도화, 활성화 및 유기점토 제조기술 등을 개발하여 국내 부존자원을 고기능성 소재로써 활용하는 연구도 있다. 본 리뷰에서는 한국 연구진들이 발표한 7편의 논문을 인용하고 있는바 이는 우리나라에서 나노재료 및 나노복합체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겠다.
○ 점토광물 MMT는 친수성이어서 소수성인 고분자에 분산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유기화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개질제로 보통 사용하는 알킬암모늄염은 고분자에서의 분산에는 도움이 되지만 MMT의 고분자 물성강화 효과를 감소시킨다. 또 천연광물에서 출발하므로 품질이 불균일하거나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 층상물질이 상업화되어 있으며 개질하지 않은 채로 사용하는 방안도 연구되고 있다. 머지않아 비개질 MMT를 고분자에 분산시키는 기술 혹은 유기화 이외의 개질방법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Lucilene Betega de Paiv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8
- 권(호)
- 42(1)
- 잡지명
- Applied Clay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8~24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