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의 점검, 조사 및 보수 기술의 실상과 동향
- 전문가 제언
-
○ 교량을 포함한 강구조물의 사용 성능과 수명은 주로 기둥과 보의 용접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이 부분의 용접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둥과 보의 용접에는 가스실드 아크용접의 반자동용접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로봇을 이용하는 자동용접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 용접부는 균열, 또는 균열과 같은 결함을 지니고 있다. 그중에서 용접 단면부의 갑작스런 변화, 용접 토우, 용접의 출발점과 끝나는 위치, 기공, 융합불량 등과 같이 응력집중을 초래하는 결함은 용접부의 피로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용접 시공 과정에서 용접 품질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기둥과 보의 용접 시 대입열, 층간온도에서도 소정의 용접부강도와 인성을 얻을 수 있도록 예열과 층간온도를 철저히 관리하고 기둥재의 판두께 방향의 강도와 용접부의 잔류응력, 구속도를 낮추는 시공 조건을 선정해야 한다.
○ 용접이음부 끝부분에 엔드 탭(weld tab)을 설치하여 용접을 완료한 뒤 제거하면 용접부의 피로거동에 민감한 응력집중현상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 강구조물 용접부가 부적당한 설계에 의해 필릿용접부의 목 두께가 짧아 용접이음부의 강도가 부족하거나 또는 용접불량에 의해 용접결함이 존재하면 큰 소성변형이 없이 파괴가 되는 취성파괴거동을 보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교량을 포함한 강구조물의 보수용접 시 야외환경 조건에서 건전하고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용접부가 만들어지는 것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수 용접 절차와 용접사에 대한 인증을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
- 저자
- Konishi Takuy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8
- 권(호)
- 77(6)
- 잡지명
- 溶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58~564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