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쓰레기매립지 침출수와 생물지표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는 음식물쓰레기의 매립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침출수에 난분해성 성분이 많은데 특히 강우량의 영향이 크며 매립면적이나 투수계수 등에 따라 차이가 크다.

○ 수도권매립지의 사례를 보면 1992년 처음 매립을 시작한 이래 이후 증가하여 1998년에는 최대 일일 6,287㎥까지 발생되다가 2000년 매립이 끝난 뒤에는 점차 감소하여 2008년에는 일일 1,239㎥이 발생한 이래 2009년에는 821㎥로 계속 감소하고 있다.

○ 침출수의 배출기준은 처리 후에 BOD는 70㎎/ℓ, COD는 800㎎/ℓ, SS는 70㎎/ℓ 이하로 규제하고 있어서 폐수처리 이후의 기준으로 만족하고 있다.

○ 폐기물 매립장의 폐지 및 복원활용은 폐기물의 화학적 변화가 끝나 안정화가 이루어진 다음 실시해야 하며 이때 침출수의 양과 성분조사로 안정화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처리전의 침출수가 배출기준 이하로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각종 검사가 진행되는데 최근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 이 글은 일반쓰레기 매립지의 폐지 및 복원에서 침출수의 양과 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퀴논 생물지표를 이용하여 비오기 전과 후를 비교분석하였다.

○ 그러나 매립지내부는 많은 쓰레기가 불균일하게 매립되어 있고 시추공을 뚫어서 시료를 확보해도 서식하는 미생물의 종류가 많아서 대표성 있는 자료를 얻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침출수를 대상으로 판단하는데 이 역시 빗물의 영향이 커서 용이하지 않다.

○ 여기서 제시하고 있는 퀴논 생물지표는 하나의 새로운 시도로 보여 지나 역시 강우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보완이 필요하지만 보조지표로서는 유용하다고 본다.
저자
Masafumi FUJITA, Kentaro IMAI, Koji TSUJI and Yasushi SAKA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8
권(호)
19(5)
잡지명
廢棄物學會論文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47~351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