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기물 매립지에서 매립가스성분의 변화

전문가 제언
○ 관리형 매립장은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는 산업폐기물을 매립하므로 유기물이나 영양염이 분해되어 안정화될 때까지 차수공이나 침출수 처리시설을 해서 관리해야 한다. 이때 가스관을 설치하여 분해된 매립가스(LFG)는 별도로 수집하여 연소시켜서 열에너지와 발전에 이용하기도 한다.

○ 폐기물 매립장은 매년 안정화의 진행도를 파악하기 위해 배출되는 침출수와 매립가스의 양과 성분을 분석하여 매립경과 연수에 따른 변화를 조사한다.

○ 매립지는 주민 혐오시설로서 조기에 안정화를 시킴으로써 인근 주민의 건강 보호 등 환경개선과 함께 복원 매립지의 효과적인 활용 등을 기할 수 있고, 안정화 기술의 수요가 높아서 최근에는 조기 안정화에 관심이 높다.

○ 따라서 현재의 쓰레기매립지에서 안정화 정도의 파악은 매우 중요하며 이때 침출수의 양과 성분을 조사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물지표를 사용하고 있으며, 매립가스에 대해서도 매립경과 연수에 따라 양과 성분이 달라지므로 안정화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 이 글은 관리형 매립장의 매립가스에서 메탄 등 다량 발생가스보다 미량으로 발생하는 비메탄 탄화수소(NMHC)가 안정화 지표로 가능하다고 보고 매립장의 깊이와 경과연수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였다.

○ 조사결과 매립경과 연수에 따라 NMHC는 탄소 수가 적은 화합물로 이행하며, NMHC의 탄소 수 구성과 이성체 비가 안정화 지표로 가능성이 있음을 보였다.

○ 그러나 매립가스도 침출수와 같이 강우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어서, 침출수의 생물지표와 함께 매립가스 중 NMHC의 성분과 이성체의 비도 보조지표로 사용한다면 안정화 파악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Masanao NAGAMON, Yasaku ONO, Kiyoshi KAWAMURA, Masato YAMADA, Tomonori ISHIGAKI and Yoshiro O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8
권(호)
19(4)
잡지명
廢棄物學會論文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44~254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