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전력의 송전방안
- 전문가 제언
-
○ 바다는 에너지 자원의 보고라고 할 수 있어 오일 및 가스탐사뿐 아니라 풍력, 해류, 파도 및 해양 열을 이용한 무공해의 재생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양에너지 프로젝트는 대부분 근해에서 이루어지고, 생산되는 전력용량도 낮은 편이다. 그러나 해양자원은 근해보다 오히려 가까운 장래에 더욱 더 바다 멀리서 또한 더 깊은 바다에서 이용가능성이 커지고 여기에 사용되는 전력용량도 더욱 커질 전망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시설들 즉 해양플랫폼, 발전시설 및 해양송전시설 등이 필요하게 된다.
○ 특히 해양 송전계통은 해양플랫폼과 부수시설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육상 전력 그리드에서 해저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되거나 또는 해양발전전력을 해저케이블을 통한 송전계통을 통하여 육상 그리드에 송전하게 된다. 이러한 송전기술에는 고전압 교류(HVAC, High Voltage Alternative Current)나 고전압 직류(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이 있다.
○ 일반적으로 송전거리가 짧은 경우(50km 이하)에는 HVAC를 사용하고 그 이상에는 HVDC가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즉 직류송전의 경우 대용량 장거리 송전이 가능하고 전력손실도 교류송전에 비하여 작다. 또한 다른 주파수의 경우에도 송전이 가능해 국가 간 송전에 최적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최근 한전은 제주지역의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해 제주~진도 간(해저 104km, 육지 7km) HVDC 추가 연계선 건설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2011년에 준공예정이며 사용되는 해저케이블은 250kV급이다.
○ HVDC의 단점은 대용량 AC/DC 변환기에서 고조파가 발생해 고조파 필터가 필요하고, 전압강하가 송전전력과 길이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DC 전압은 절연레벨과 부하손실을 고려하여 최적의 DC 전압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HVDC는 HVDC LCC(Line Commutated Converter)와 HVDC VSC(Voltage Source Converter) 계통이 있는데 HVDC VSC가 설치비, 연결의 융통성 및 탄소세 등을 고려하면 최상의 방법인 것으로 평가된다.
- 저자
- Inigo Martinez de Alegria, Jose Luis Martin, Inigo Kortabarria, Jon Andreu, Pedro Ibanez Eren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13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027~1038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