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입자의 환경리스크와 규제

전문가 제언
○ 최근 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작은 입자를 이용한 나노기술이 크게 주목받으면서 우리 일상생활에 피복이나 화장품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되고 있다. 이들 물질이 인체나 환경에 미치는 유해 영향은 거의 알려진 바 없지만 석면이나 PCB(폴리염화비페닐)는 대표적인 유해물질이다.

○ 본고는 WSP Environment & Energy사 총지배인 K. Gibson 등이 나노기술의 실체와 현재 진행되고 있는 환경이슈 규제를 위한 EPA 동향을 소개한 것이다. 특히 나노기술이 21세기 혁신기술로 인식되면서 우리나라도 정부 차원의 지원과 첨단기술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크게 활성화하고 있지만 이들 신소재가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 연구대상이 은, 탄소, 철, 골드 등 비교적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원소를 대상으로 의학이나 약학에서 약물운반 도구나 미세로봇 개발 및 기타 일상 생활용품을 목표로 하고 있어 이들 물질이 인체의 물질대사나 유전자에 미치는 영향은 얼마나 안전한지는 어느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 특히 나노입자는 같은 기질의 대규모 용량보다 반응성이 강하지만 이들 입자의 독성은 알려진 바 없고, 공기나 물에 확산이 용이하며, 동식물에 흡수되면 PCB처럼 먹이사슬에 축적될 가능성이 있어 안전을 최우선시하여야 한다.

○ 연구자나 관계당국은 연구 활성화 정책도 중요하지만 이에 수반된 안전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일 것이다.
저자
K. Gibson, D. Pul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18(3)
잡지명
Environmental Quality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8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