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에너지화 기술진전에 기여
- 전문가 제언
-
○ MSW의 발생은 소비와 생산 활동의 부수적인 산물로 경제발전 수준에 따라 증가하게 되어 있다. 가정과 산업 활동으로부터 나오는 오수, 폐수, 가공시의 농업 및 식품 폐기물, 독성 화학제품과 부산물 등이 이에 해당한다. 고형폐기물의 퇴비화는 호기성 조건 하에서 생물학적으로 유기물을 안정화시키는 자원화 방법 중 하나다.
○ 활성오니의 Fe, Zn, Ni, Cu, Co와 같은 중금속은 미량일지라도 미생물 성장을 자극하여 미생물 시스템에 영향을 주게 된다. 중금속 존재 하에서의 미생물기구 응답은 농도에 따라 반응비율이 아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생물 배양 및 성장에 있어 독성 영향은 중금속 농도에 국한되지 않고 배양접촉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 이 글에서는 EU에서 발생된 MSW 양은 2004년 259×106톤이었으며, 이러한 폐기물의 양은 효율적인 관리 및 이용을 요구받게 되었다. 2004년 EU에서 발생된 총폐기물 양의 약 40%는 매립되었으며, 20%는 소각처리 되고 나머지 부분은 재사용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처리되었다.
○ 폐기물 열적 프로세스에서 실현 가능한 장치설계 룰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취합하였다. 주입 데이터는 예비프로젝트를 구성 수행하여 설정하고, 주입/취출 밸런스 계산 및 최적화 작업은 연구그룹의 지원으로 수행한다. 수학적 모델링을 기술 및 장치의 주요 부분에 적용하고, 경험 및 노하우를 최대로 확대 이용한다.
○ 시스템의 기술적인 설계는 앞으로 장비 현대화, 기술 향상 혹은 기술 확산이 되도록 설계한다. 시스템 수행에서 더 많은 로봇 장치를 도입해야 하고, 열적 장치를 만드는 제조 공급자 및 계약자 선발은 철저하고 주의 깊게 이루어져야 한다.
- 저자
- Petr Stehlik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17
- 잡지명
-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919~931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