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체내 경구정제의 안테나 구성기술

전문가 제언
○ 생체진단 및 치료를 위한 표적부위 타겟형 경구정제로서, 타불레트/캡슐 같은 약물 전달체로 구성되는 안테나는 복용 후 용해되어 복용 이벤트마커(IEM)의 일부로 작용한다. 최근 약물 전달체 자체보다 작용기전이 강화된 IEM이 개발되고 있다.

○ IEM의 관련기술로는 약리정보시스템의 생체 저전압 오실레이터 의료장치, 활성화제어 식별자, 초음파 약리정보시스템, 경구 이벤트마커 시스템, 고전계 전극을 갖는 체내 전원소스 등의 분야에서 2006년 이후 해외특허가 활발히 출원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생체의 온도, 압력, 뒤틀림 등을 감지하는 RFID 캡슐 구조 및 제조 등 소수의 특허가 출원되고 있으나 아직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 2013년 이후 2000억 달러 이상의 거대시장 형성이 예상되는 DDS 경쟁분야에서 최근 경구약물 정제와 캡슐에 RFID태그를 이용한 추적기술 개발 경쟁과 특허 선점 및 상용화가 가속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약물 전달체 중심에서 맞춤형/스마트 DDS로 패러다임이 이동되어야 하며, 약물 활성화 조성물, IEM 및 RFID 안테나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아울러 DDS 관련 기술개발은 신약개발 이상의 파급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존의 진단치료 약제용 타불레트, 필 및 캡슐에 RFID태그를 맞춤식으로 부착하는 방법이 개발되어야 하며, 인체전파모델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전파 특성을 측정하여 이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하다. 이에 안테나 개발 시 특성별 IN-VIVO 신호 방출 및 감지에 대한 정확성과 안전성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우선이며, 적용기술 표준화와 캡슐형 소형 안테나 조성 기술, 배터리 형성기술 개발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투약에 대한 비순응이 전체 치료비용의 상승을 유발한다는 인식 하에 종래의 순응도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나, 기술의 참신성에도 불구하고 위장 내 식별자의 영향에 기인한 신호생성의 신뢰성이 이슈화되어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PROTEUS BIOMEDICAL, IN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8
권(호)
WO20080112578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56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