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경구약품 캡슐의 통신부품 구성기술

전문가 제언
○ 2008년 전세계 약물전달시스템(DDS) 시장은 1,066억 달러에서 2013년에는 2,144억 달러로 성장이 전망된다. 이는 환자의 약물 순응도 향상을 위해 경구 약물전달 캡슐과 같은 진단/치료기술의 적용이 확산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 캡슐내시경 기술 및 전후방 산업 발전은 위장관 내 진단/치료의 첨단기술로서 비용 저감과 환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켜 왔으나, 최근 이러한 캡슐내시경의 저류문제 예방을 위해 카메라가 없는 RFID 태그를 장착한 캡슐기술이 제시되어 임상실험에 적용되고 있다.

- FDA 사용 승인을 받아 상품화된 기존 RFID 장착 캡슐은 동물 삽입용 RFID glass 태그와 약물만을 포함하고, 휴대용 RFID 스캐너로 위장관 내 캡슐 위치의 확인이 가능한 단순형태이다.

- 캡슐 일부는 위장액 속에서 용해/수축되는 형태로서 위장관의 협착이 있어도 자연배출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 그러나 캡슐 안의 RFID glass 태그와 캡슐 외피의 수축구조 역시 저류 예방을 위한 표준검사법으로 인정된 것은 아니므로 안전성 확보를 위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의료 환경에서 캡슐 통신장치의 간섭과 사용주파수의 영향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절실한 상황이다.

○ 최근의 경구 약물전달 캡슐 기술동향은 캡슐내시경의 저류예방 목적 등 의료목적보다는 경구 약물전달 기술 측면에서 캡슐의 통신방법과 구조, 기존의 RFID Glass 태그 이외의 태그 대안 및 구조설계 등의 연구로 다양화되고 있어 의료기기 업체와 제약업체의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 향후 안전성이 확보된 저가의 캡슐에 대한 구조, 소재 개발, 모니터링 장비 및 기술 등의 하드웨어도 중요하지만 진단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DOW GLOBAL TECHNOLOGIES IN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8
권(호)
WO20080089232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0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