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양식에서 유용미생물의 역할과 기능
- 전문가 제언
-
○ 식량안보에는 농작물은 물론 육류도 포함되지만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수산물이 각광을 받고 있다. 중국은 2005년 이래 세계에서 가장 높은 양식생산을 기록하고 있다.
○ 담수와 해수를 막론하고 인구증가, 공업화에 의해 호수 또는 연해의 부영양화가 증가하고 있다. 양식 산업이 부영양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그 범위를 파악한 연구결과는 없다. 최소한 하저 또는 해저의 침전물에서 부상한 영양염류가 수계의 총 영양염류에서 약 10%를 차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 이러한 가두리양식의 문제는 양식밀도와 과잉의 먹이투입에 있다. 양식동물이 섭치하지 못한 유기물질 형태의 먹이는 침강해서 수중생태계를 황폐화시키고,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양식을 위한 먹이에 유용미생물을 투입하면 양식동물의 소화기관을 정상화시키고 수중생태계도 개선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미생물은 단일종, 복합종 또는 혼합종으로 적용할 수 있지만, 양식종 및 해당지역의 수중생태계를 고려해서 선정할 필요가 있다.
○ 치어를 방류하는 방식의 자연적인 양식은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이 없지만, 담수양식 및 연근해의 양식은 수산물 증산이라는 이점 외에 악영향이 많으므로 가두리양식업의 추가인정은 극도로 제한되어야 한다. 또한 기업형태의 가두리양식이 많으므로 적정 사육밀도, 적정한 먹이공급을 규정하고 과잉의 먹이공급에 의해 야기되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유용미생물 투입 등의 규제도 필요하다고 본다.
○ 궁극적으로 연근해 수산자원을 보존시키는 장기적인 정책개발과 함께 해당 양식지역에 적합한 증식기준(사육밀도, 먹이공급량)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저자
- Q. Zhou, K. Li, X. Jun, L. B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100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780~3786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