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에 번용 되는 3종의 한방약
- 전문가 제언
-
○ 여성에 번용 되는 3개의 한방약 당귀작약산, 가비소요산, 계지복령환에 대하여 역사적인 배경을 보면 약2000년 전에 계지복령환과 당귀작약산은 금궤요약에 쓰여 있었으며, 가미소요산은 1000년이나 늦게 탄생되었다. 이는 역사적으로 환자가 많이 발생된 시기에 처방이 탄생되어 역사적인 로만(roman)을 느끼게 된다. 이 3방제에 대하여 구성생약적으로 또는 실험약리학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가미소요산은 기제적 요소가 높으며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을 받은 경우에, 계지복령환은 구어혈제의 대표적이며 말초의 혈류이상에 의한 장해를 개선시킨다는 것을 실험약리학적으로 밝혔다. 이수적요소가 강한 당귀작약산의 특징은 확실하지는 않으나 중간정도임을 밝혔다. 3처방은 모두 갱년기 장해에도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우선 방제를 이해하기 위하여 기초적인 지식으로서 기혈수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였다. 우리들의 신체는「기」「혈」「수」가 신체를 순환함으로 정상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생각한다.「혈」은 혈액 그 자체이며 혈액의 기능이고「혈」이 부족한 상태를 「혈허」라 한다. 치료생약을 「보혈생약」이며 혈이 체하여 일어나는 증상에 「어혈생약 」이다. 「수」의 병으로는 「수체」이며 개선하는 이수생약을 배합한 것이 이수제이다
○ 「기」는 우리들이 활동하기 위한 에너지라 생각한다. 혈과 수를 원활하게 돌리기 위하여 필요하며 기, 혈, 수 가운데 가장 중요하다. 기가 부족한 상태를 「기허」라 하고 치료하는 것을「보기제」이며 일군의 방제는 인삼, 황기, 창출, 감초 등의 생약을 배합한다. 또한「기체「기역」이 있다.
○ 「기」「혈」「수」중 어느 것이 이상이 일어나고 있는가를 찾는 것으로 방제 사용이 결정된다. 방제 중에 어떠한 생약이 배합되어 있는가를 알게 되면 기혈수의 어느 것을 개선해야 하는지, 환언하면 어떤 방제인가를 알게 된다. 여기서 한방 기초개념을 근거로 당귀작약산, 계지복령환 및 가미소요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저자
- Ishige 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8
- 권(호)
- 59(10)
- 잡지명
- 藥局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028~3035
- 분석자
- 김*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