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직업을 위한 학습 - 직업교육과 훈련에 대한 OECD 검토: 오스트레일리아 경우

전문가 제언
○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직업교육 및 훈련(VE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에 관한 검토는 VET에 대한 OECD 정책연구에서 직업을 위한 학습의 한 부분이다. 본 검토는 VET 시스템이 직면하고 있는 주 도전사항을 평가하고, 정책건의에 관해 도전이라는 이름으로 연결된 종합계획을 표현하고 건의하며, 그 건의에 대한 논쟁 사항을 알아보고 아울러 이행뿐만 아니라 잠재적 자원의 의미를 제시한다.

○ 오스트레일리아는 잘 개발된 VET 시스템을 통해서 신뢰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고용주의 고용계약이 탄탄하고, 국가자격 시스템은 잘 설정되어 있으며, VET 시스템은 융통성이 있고 지방 자치권을 상당히 많이 허용하고 지방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혁신을 허용하고 있으며, 대부분 VET 주제에 관한 자료와 연구는 양호한 편이다.

○ 도전 사항은 국가, 주 및 속령 간에 책임이 분명치 않고, 기금기반원칙이 분명치 않고 인간자본정책과 원칙에 일치하지 않으며, 기능예측에 대한 활용은 어떤 어려움을 만들고 있다. 또한 해당 자료에 어떤 취약성과 괴리가 존재하고 있으며, 일자리교육은 경직되고 능력 획득보다 교육기간에 의존하고 있고, 훈련종합계획(training package)의 개발 및 실행처리는 비효율적이다. 그리고 강사의 노동력 나이는 심각한 문제이다.

○ 본 연구는 8가지 건의를 하고 있다. 즉, (1) 국가, 주 및 속령은 공통 원칙을 찾아야 하고, (2) 학생들은 VET 자격을 추가하여 자격을 따야 하며, (3) 기금을 받은 학생은 VET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하고, (4) 기능예측은 흔히 신뢰할 수 없고 중앙정부기획의 기초사안이 되어서는 안 되며, (5) 자질과 제공자 수준의 결과자료의 폭넓은 범위는 개발되어야 하고 가용할 수 있어야 하며, (6) 일자리교육은 경쟁 위주로 개혁해야 하고, (7) 훈련종합계획은 기능표준에 준하여 단순하고 훨씬 간단한 말투로 대치되어야 하며, (8) 훈련생들이 VET 제공자 및 산업체 내에서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구상이 장려되어야 한다.
저자
Kathrin Hoeckel, Simon Field, Troy R. Justesen and Moonhee Ki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8
권(호)
=(=)
잡지명
Report of OECD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56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