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지속 가능한 에너지 수준
- 전문가 제언
-
○ IEA의 평가에 의하면 현재 화석에너지 소비는 1차 에너지의 81%, 재생에너지 13%, 원자력에너지 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향후 재생에너지 사용 증가와 새로운 에너지원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2050년까지 화석에너지의 의존도는 80%로서 크게 감소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향후 화석연료 생산과 소비에 있어 생산 가능한 매장량의 한계와 또한 확인 매장량과 현재 탐사 중인 매장량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으며, 앞으로 한정된 매장량을 얼마나 오래 사용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불확실성에 직면하고 있다.
○ ASPO(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eak oil)는 모든 석유 생산은 2007년에 이미 피크에 도달하였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은 2010년경에 피크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저렴한 석유 시대는 이미 지나고 석유 생산과 수요가 감소할 경우 전 세계 경제 불황이 다가올 것임을 강력히 경고 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적인 에너지 기구들은 막대한 매장량이 확인된 비전통적인 초 중질유와 비전통 천연가스 매장량은 장기적으로 전통적인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론을 펴고 있다.
○ 향후 지구상의 화석에너지 생산은 환경, 정치, 경제 등의 복잡한 제약 요인으로 인해 점차 감소하게 될 것이며 특히 GDP는 1차 에너지 소비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1차 에너지 소비 감소는 GDP 감소로 유도될 것으로 본다. 재생에너지는 막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장기적으로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예측하지 않은 댐의 붕괴, 지진 등의 자연 재해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 문제와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을 위한 재생에너지 개발은 자연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노력이 필요하다.
○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에너지 개발은 우리에게 많은 해결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즉, 새로운 기술은 많은 비용을 부담해야 하며 개발과 실용화를 위해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사실과 또한 많은 요인에 의해 제약을 받게 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 같다.
- 저자
- Patrick Moriarty, Damon Honner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9
- 권(호)
- 37
- 잡지명
- Energy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469~2474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