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온용 핫멜트 접착제
- 전문가 제언
-
○ 접착력 시험에서 접착의 파괴상태는 피착재 재료파괴, 피착재와 접착제 계면의 박리에 의한 계면파괴, 접착층 내의 파괴인 응집파괴, 계면파괴와 응집파괴가 혼합된 혼합파괴가 있다. 도포온도가 낮을수록 접착력이 약화되는 경향이 있는데 본 발명의 저온도포 시료의 접착파괴는 재료파괴로 접착제의 응집력과 접착제와 피착재 사이의 접착력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 접착기구는 기계적 결합, 물리적 상호작용, 화학적 상호작용이 있다. 기계적 결합은 앵커 효과, 투묘효과(投錨?果)라고도 하며 재료표면의 구멍 및 우묵한 곳에 액상접착제가 들어가 굳어 접착이 되는 것이다. 목재 및 섬유, 가죽 등의 흡수성이 있는 재료의 접착에 해당한다.
○ 물리적 상호작용은 분자간력으로 반데르발스힘과 수소결합력으로 2차결합력이라고도 하며 접착의 기본원리이다. 화학적 상호작용은 1차 결합력이라고도 하며 가장 강한 접착력이 기대되는 공유결합을 말한다. 즉 접착은 기계적인 걸림, 분자간력, 원자간력으로 이루어져 있다.
○ 핫멜트 접착제에서 고분자는 응집력, 점착부여제는 접착력, 표면 젖음성, 오픈 타임, 고분자의 유연성, 점착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왁스는 접착제 펠릿의 블로킹을 저하시키고 용융점도, 점착력을 조절한다. 산화방지제는 접착제의 제조공정과 도포기 탱크 내 핫멜트 접착제 중에서의 수지의 산화방지를 한다. 핫멜트 접착제의 물성 조절에는 각 성분의 분자량, 특정온도에서의 점도, 성분 간 상용성, 고온 산화안정성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 핫멜트 접착제 중 EVA는 범용이며 판지 박스의 접착에 가장 많이 쓰이며, 폴리아미드는 기체나 기름과 같은 가혹한 환경, 160℃까지의 높은 내열성을 요구받는 경우, 극성 피착재에 쓰이고, 반응성 우레탄은 고온, 또는 유연성을 크게 요구받을 때, 극성 소재의 접착에 쓰이고, 폴리올레핀 접착제는 폴리프로필렌에 접착력이 우수하고 습기의 배리어성, 극성화합물에 대한 내약품성이 요구될 때 쓰인다.
- 저자
- H.B.Fuller Licensing and Financing, 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64869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7
- 분석자
- 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