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불확실한 기후변화에 적응전략

전문가 제언
○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가 고조되면서 최근 국제사회는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정치?경제적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녹색경쟁을 벌이고 있다. 선도적 국가들은 지구의 온도상승을 2℃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강도 높은 중장기목표를 내놓고 있으며, 이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온실가스 감축 등 기술개발을 위한 과감한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예외가 될 수는 없다. 어떻게 하면 기후변화로 인한 각종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적인 경제발전과 성숙한 세계국가를 실현할 것인가 하는 것이 우리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중요한 과제다.

○ 최근 들어 폭염과 초대형 태풍, 집중호우,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침수와 범람, 농업생산량의 감소, 물 부족문제 등의 엄청난 피해가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한반도도 예외는 아니다. 예를 들면 2002, 2003년에 연이은 초강력 태풍인 매미와 루사로 인한 재산피해만 10조5천억 원에 달했다.

○ 이러한 기후변화 위기의 가장 큰 원인은 화석연료의 사용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이다. 2007년 IPCC의 4차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 100년간 지구의 온도는 평균 0.74℃ 상승하였고, 1961년 이후 매년 1.8㎜씩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 한반도에서의 기후변화 진행속도가 세계 평균보다 높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료에 의하면 100년간 우리나라의 평균기온은 약 1.5℃ 상승하였고 제주지역의 해수면은 지난 40년간 22㎝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난 8?15 경축사에서 이대통령은 ‘저탄소 녹색성장’ 을 새로운 국가비전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것은 기후변화 대응을 통한 성장 동력의 확보와 기후변화 위협을 최소화하여 환경을 경제와 상충되는 것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환경과 경제의 선순환구조를 만들어 나간다는 점에서 기존의 패러다임과 큰 차이를 갖는다. 그동안 다소 미흡했던 기후변화에 따른 국가위기관리 강화를 위한 대책들을 대폭 강화하고 있는 것도 중요한 내용이다.
저자
STEPHANE Hallegatt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19(2)
잡지명
Global Environmental Chang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40~247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