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형 산업의 이노베이션 프로세스 조사
- 전문가 제언
-
○ 현재 경제사회의 발전으로 이노베이션의 중요성이 급속하게 고조되고 있다. 이노베이션은 단순한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며 인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포함한 복잡한 사회적 프로세스이다. 이러한 인식하에 구체적으로는 기술혁신을 위한 사회과학과 이노베이션의 영향 등에 대하여 고찰해야 한다.
○ 이노베이션은 향후 경제성장의 동력원이며 지식의 창조나 활용에서도 고도로 복잡한 사회적 분업과정이며 그 효과적인 추진에는 체계적으로 객관성이 있는 데이터의 축적과 그에 상응한 창조에서 이용까지 프로세스 전체의 연구가 필요하다.
○ 통계조사에서는 직접 관찰하는 직접조사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앙케트조사는 간접조사의 일종이다. 즉 관찰하고자 하는 사항에 대하여 미리 정보나 지식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에게 자문함으로서 그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이다. 이 글에서 과학형 산업에서 이노베이션 프로세스의 조사는 이노베이션의 일반적인 특징의 탐색과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 앙케트조사는 반도체산업, 바이오, 의약품 등으로 대표되는 과학형 산업에 관한 것이다. 근래 반도체 특히 디바이스와 장치관련 산업의 국제경쟁력이 1990년대 후반이후 저하되고 있다. 그 원인을 경제, 경영학의 관점에서 분석함과 동시에 그 극복대책을 찾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조사 분석에는 사회과학적인 분석에 그치지 않고 반도체 산업의 특징, 기술특성을 충분히 배려하여 분석해야 한다.
○ 앞으로 지식 생산의 메커니즘, 연구개발에서 경쟁과 협조 등 이노베이션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에서는 산?학?관 협동으로 추진하여 국제적인 수준의 연구 성과를 얻음과 동시에 그 성과를 정부기관, 산업계의 기술경영 능력 향상 및 이노베이션 추진을 위한 참신한 정책, 제도개혁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 저자
- Hiroyuki CHU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8
- 권(호)
- 91(9)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798~803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