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여기레이저에 의한 마그네슘의 정련과 청정에너지원의 이용
- 전문가 제언
-
○ 태양광 에너지는 무진장이다.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고 자동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으나 흐린 날과 비 오는 날을 감안하면 태양광으로 발전된 전력을 어떻게 저장하였다가 사용하는가가 문제다.
○ 마그네슘을 물과 반응시키면 몰당 86kcal의 열과 마그네슘중량당 중량비로 8.3%의 수소가 발생한다. 이 수소를 연료전지로 사용하기도 하고 수소연료 에너지 58kcal를 사용할 수도 있다.
○ 또한 방응생성물인 산화마그네슘을 태양광여기 레이저를 이용하여 마그네슘으로 되돌려 재생할 수 있으면 이는 에너지의 저장과 수송 매개체로도 기대된다.
○ 현재 전 세계의 연간 마그네슘 생산량은 약 60만 톤으로 이중에서 70%를 중국에서 석탄으로 환원하여 정련하고 있어 지구환경 보전에도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구상에는 많은 해수가 있으며 이 해수 중에는 마그네슘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를 담수화하면 물과 마그네슘을 얻을 수 있다.
○ 우리나라도 10년 후에는 물 부족 국가로 되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4대강 정비 사업을 서두르고 있으나 해수 담수화사업으로 물 부족을 일부나마 해결하고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마그네슘을 생산하고 차제에 마그네슘의 재생처리방법을 심도 있게 연구하여 자동차용 연료전지로 개발하는 것도 꿈만은 아닌 것 같다.
○ 다행이도 우리나라는 반도이므로 해안에서 깊이 들어가는 오지도 거의 없어 해수를 끌어들여 내륙에 담수 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한번 검토해볼만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 저자
- Yabe Taka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8
- 권(호)
- 56(7)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3~39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