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면역시스템(AIS) 기반 침입탐지 분산 에이전트 모델
- 전문가 제언
-
○ 인공면역시스템(Artificial Immune System, AIS)은 생물체 면역체계의 구조와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하여 정보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응용분야이다. AIS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스스로 적응하고 스스로 학습하며 스스로 조직하고 병렬처리와 분산조절 능력을 가진 복잡한 시스템이다.
○ 면역학 이론의 특출한 성격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며 연속적이고 동적으로 학습하는 능력이다. 면역학 이론에서 인체의 면역기능은 자체적으로 면역능력을 유지하며 외부의 공격에 대하여 이를 탐지하는 자기면역(self)과 비자기면역(nonself) 및 순수한 비자기면역을 구분하는 기본 기능을 갖는다.
○ Jin Yang 등은 이 논문에서 인공면역시스템에 기반을 둔 네트워크 보안 모델을 제안하였다. 여기서는 패킷 하락 효율을 강화하고 실시간으로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취득하기 위하여 분산 에이전트를 활용하고 네트워크 침입탐지의 효용성을 실험을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면역세포의 개념과 공식적인 정의가 제공되고 셀프, 항원, 면역내성, 면역메모리의 동적인 진화 등이 제시되었다.
○ 인체의 생명공학을 컴퓨터 분야에 접목한 기술은 컴퓨터 과학기술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이를테면 인간의 지능 활동을 모방하여 만든 인공지능, 뇌신경을 모방한 신경망 이론 등이 여기에 속한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체의 여러 가지 기능을 해석하고 분석하여 치료에 활용하는 응용분야와 더불어 인체기능을 모방한 컴퓨터 기술은 컴퓨터 과학 분야에 많은 공헌을 한다.
○ 인공면역시스템을 컴퓨터 보안 문제, 특히 침입탐지 문제에 적용하려는 의도는 매우 관심 있는 영역이다. 그러나 항원, 항체 및 면역내성과 같은 면역 기본 기능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문제는 보다 많은 실험과 검증이 필요하다. 특히 면역세포에서 T-임파구와 같은 역할을 담당할 에이전트의 구현도 적극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 저자
- Jin Yang, Xiaojie liu, Tao Li, Gang Liang, Sunjun Li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22
- 잡지명
- Knowledge-Based System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15~119
- 분석자
- 김*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