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식자산과 가치창출

전문가 제언
○ 이 글은 "지식자산과 가치창출“을 주제로 하여 지식자산에 대한 주요 관점, 지식자산의 회계처리와 혁신의 지역차원, 지식자산과 기업의 입지 및 연계, 고성장 및 혁신적 중소기업, 지식자산과 기업의 회계보고 및 가치창출 방법, 다음 단계 및 미래 활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시차원, 지역차원 및 기업차원 프로젝트 수행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있다.

○ 특히, 이 글에서 지식자산은 기업의 가치창출을 위한 전략적 요소이고 혁신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경제성장과 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다는 점과 주요 OECD 국가에 있어서 무형의 자산인 지식자산 투자가 GDP의 7.5-11.7%로 추산되고, 지식자산의 효과적인 개발과 투입은 새롭거나 향상된 제품 및 프로세스를 통해 가치창출을 조장할 수 있다고 강조된 점이 주목된다.

○ 지식자산은 기업의 구성원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을 상호 공유함으로써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비물리적인 무형의 자산으로서 경제수익의 원천이 되고 기업에 의해 유지, 거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식자산에는 R&D, 특허, 상표가 포함됨은 물론, 최근에는 그 범위가 인적자원 및 역량, 조직의 경쟁력, 관계자본(조직의 디자인 및 프로세스, 소비자 및 공급자 네트워크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 오늘날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화폐적 자산이나 유형자산을 거의 보유하지 않고 지식자산으로 기업의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들이 거대한 생산산업을 이루면서 지식자산 투자를 크게 증대시키고 있다. 기업의 주된 가치창출 요인은 유형자산을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내는 지식자산이며, 이를 간과하게 되면 희소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 우리나라는 국가 지식자산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나, 지식자산의 축적이 선진국에 뒤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기업은 지식자산을 기업경쟁우위의 핵심요소로 발전시켜 축적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하며, 정부는 그 개발에 유용한 거시경제 및 프레임워크 조건을 조성하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저자
OEC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8
권(호)
.(.)
잡지명
OECD Synthesis Report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35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