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재생가능 원료로부터 디젤유의 생산
- 전문가 제언
-
○ 재생가능 공급 원료의 트리글리세리드와 자유지방산으로부터 디젤 비점 범위의 탄화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수소첨가, 탈카르복시화, 탈카르보닐화 및 가수탈수소화 반응이 특허 내용이다. 다양한 재생 가능한 폐자원과 바이오재생자원으로부터 디젤 연료와 디젤 연료 성분을 제조하는 기술로서 관심을 끈다. 재생원료에 의한 대체 에너지로 디젤연료의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으나 공정상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언급이 없다.
○ 다양한 재생 가능한 폐자원과 바이오재생자원으로부터 바이오디젤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촉진함으로써 반응시간을 크게 단축하고 특히 회수된 수소를 반응기로 순환시킴으로써 각 촉매 층에서 온도 상승을 쉽게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종전 기술에 비해 낮은 압력의 운전조건이다. 그러므로 반응 속도가 증가되어 단위시간당 공급 원료의 처리능력이 높아 운전비를 낮출 수 있다고 판단된다.
○ 이 공정은 재생가능 공급 원료의 가수소화와 탈산소화 반응에 의해 원료를 처리하여 파라핀을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을 제공하는 공정과 이의 개질 반응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재생 원료를 사용하는 디젤연료 생산 공정에서 반응의 효율과 함께 높은 겔화점, 글리세롤의 분리, 세제에 의한 물 오염, 알칼리금속 및 인과 같은 오염 물질의 제거, 엔진의 부식 및 손상, 이산화탄소의 감소 등 근본적인 문제가 선행되어야 한다.
○ 현재 석유계 연료를 대체하는 바이오연료 제조기술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척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나 경제성은 물론 아직 여러 가지 기술적인 문제가 많다고 본다. 동식물성 자원 및 폐자원으로부터의 에스테르 기반 연료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에너지 생산과정에서 환경 오염물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과 함께 경제적으로 실용적인 공정의 개발 및 촉매의 안정적 장기 운전과 촉매 재생을 위한 조건 등이 중요하다.
- 저자
- UOP LL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3896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2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