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교환막 연료전지를 위한 전기회로 모델
- 전문가 제언
-
○ 연료전지는 원천적으로 깨끗하고 효율 좋고 또 신뢰성 있는 서비스가 가능하여 전력생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들은 이동용 전력을 포함한 응용과 앞으로 수송용으로 또 주거용 전력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될 것이다.
○ 연료전지에서 양자교환 막을 사이에 두고 전극/촉매와 가스 확산 층을 샌드위치모양으로 적층한다. 이 양자교환 막 전극/촉매 어셈블리(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는 연료전지 셀의 기본구조가 된다. 이 셀에 가스통로가 형성된 바이폴라플레이트를 적층한 것이 연료전지 셀이다. 소정의 전압과 전력을 얻기 위하여 이들 수백 개 내외를 직병렬로 적층한 것이 연료전지 스택이다.
○ 이 연료전지 스택의 부하에 따른 특성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등가 회로모델을 구성한다. 이 글에서는 손실에 따른 전압강하를 모두 저항전압강하로 표시하고 여기에 직렬로 이상적인 변압기를 연결하였다. 이변압기의 회로를 다이오드와 저항 그리고 소형 인덕터로 구성한 회로를 병렬로 연결하여 모델을 만들고 있는 것이 특색이다.
○ 회로모델에서 급격한 부하변동이나 전류차단과 같은 특이 부하를 어떻게 등가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가가 항상 문제가 된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를 소형 인덕터 2개로 처리하여 순저항 회로만으로 모델을 만들어 시험한 결과 만족한 결과를 얻고 있다. 이는 간단한 회로로서 연료전지의 동적특성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어 앞으로 이용이 기대된다.
○ 여타 다른 연료전지의 등가회로 모델을 위하여 또 급격한 부하나 차단 전류에 대하여 이러한 소형 인덕터 회로를 갖는 변압기 회로로 대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모델의 확장성에 기대를 갖는다.
- 저자
- Stavros Lazarou, Eleftheria Pyrgioti, Antonio T. Alexandridi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190(2)
- 잡지명
- Journal of Power Sour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80~386
- 분석자
- 양*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