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및 대사증후군 치료를 위한 Berry의 약학적 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미국 당뇨병학회는 제1형 당뇨병을 인슐린 의존형과 다시 췌장 인슐린 분비세포가 파괴되어 절대적인 인슐린 부족이 초래된 면역매개성 당뇨병과 아직 그 원인이 확인되지 못한 특발성 제1형 당뇨병으로 나누고 있다. 제2형 당뇨병은 비만형과 비비만형으로 나누며 약 90%를 차지한다. 당뇨병이 인간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그 특유한 만성합병증인 당뇨병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신경장해가 주체가 되며 아울러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등 각종 심혈관질환과 제2형 당뇨병의 위험 요인들이 서로 군집을 이루는 현상을 한 가지 질환군으로 개념화시킨 것이다. 대사증후군의 경우 심혈관질환 혹은 제2형 당뇨병의 발병 위험도가 증가된다. 1988년 Reaven은 이러한 증상들의 공통적인 원인이 인슐린 저항성임을 주장하고 엑스(X)증후군,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이라고 명명하였다.
○ 비만은 대사증후군과 연관이 있으며 또한 여러 가지 노화와 관련된 질환, 혈압, 심근경색, 뇌졸중을 촉진시킨다. 비만의 비율은 나이가 많은 층에서 보통 인구보다 더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60세 이상인 경우 72%가 비만으로 추정되고 32.4%는 비만인 동시에 과체중이다.
○ 산앵두나무(Vaccinium) 속에는 450여 종의 식물이 있으며 이에 속하는 우리나라 산은 들쭉나무, 산앵두나무, 월귤나무, 정금나무 등이 있다. 여러 종류의 페놀성 성분이 함유되고 특히 anthocyanin계 색소는 주성분의 하나로 항산화작용을 비롯한 여러 가지 기능성이 입증되어 지금까지 애용되어 온 대표적인 천연물 성분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 현재 활용되고 있는 여러 당뇨약들이 부작용이 있고 치료에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시된 Berry를 주제로 한 새로운 약학적 조성물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특히 유전적 특성에 따른 치료 지침과 개개인의 약제에 대한 감수성을 파악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으로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맞춤치료를 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복잡한 대사증후군 새로운 치료제가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PHYTOMEDICS INC, RIBNICKY DAVID M, RASKIN LLYA, LILA MARY ANN, GRIES MARY, YOUSEF GAD, KUHN PETER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59218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79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