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초용 고 독성 바이오제제 선발
- 전문가 제언
-
○ 식물병리학과 농약에서 기생식물 방제에 고독성 병원체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게 된 것은 프렌칭(frenching) 병의 발병원인이 밝혀지면서부터이다. 식물의 백화, 위조, 생육장애, 잎 위축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이 병은 유리이소류신에 의한 것으로 제초제의 작용모드와 유사한 아미노산에 주목하게 된 것이다.
○ 일부미생물이 대사산물로 과다하게 분비하는 아미노산을 활용한 바이오방제는 토양에서의 잔류성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뿌리기생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각종 미생물을 선발하고 이들이 분비하는 독소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게 되었다.
○ 미국 Montana 주립대학 Sands 교수 연구팀은 바이오컨트롤 제제의 frenching 증강을 위한 푸사륨과 슈도모나스 선발, 기생식물의 바이오방제 향상방안, 제초제로서 아미노산의 직접처리, 현재까지 연구결과를 근거로 기본적인 실험방법과 배제되어야 할 사항 등을 본고에서 열거하고 있다.
? 또한 기생식물 방제향상을 위한 독소증강 대체접근과 그 의미에서는 기생식물 종자발아 억제, 바이오컨트롤 제제 운반시스템의 쇄신, 지속적인 바이오방제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어 케미컬 제초제나 기타 농경에 의한 제초를 적절히 통합하면 기생식물에 대한 합리적인 방제수단이 확립될 것으로 보인다.
○ 이 글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제초제 문제는 농약차원 뿐만 아니라 병리나 기타 식물생리 및 생화학 차원에서도 접근을 하고 있다. 궁극적인 목적의 기주작물에는 전혀 무해하면서 기생 잡초만을 방제할 수 있는 바이오컨트롤 확립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접근이 제시되길 기대한다.
- 저자
- D.C. Sands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65(5)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81~587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