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영국 다년초 에너지작물 억새풀의 번식

전문가 제언
○ 바이오매스 작물을 신 재생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데는 두 개의 이득을 볼 수 있다. 즉 바이오매스 성장과정에 의해 CO2 배출이 비교적 낮은 에너지로의 사용과 이에 따른 환경 잠재력과 사회경제적인 이득이다. 또한 광대한 넓이의 바이오매스 경작에 따라 농지에 대한 환경적인 압력, 산림의 생물 다변화 현상 및 토양과 수자원에 대한 부정적인 가능성도 가지고 있다.

○ 세계의 1차 에너지소비에서 바이오매스 에너지원은 약 14%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바이오매스 자원 개발은 에너지원 다변화를 위한 한 대책으로서 에너지 공급 안보에 기여할 수 있고,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이산화탄소를 절감하여 친환경적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온실가스 감축 의무 이행 대책이 될 수 있다. 특히 자원 고갈에 적극 대처하는 에너지원이기 바이오에너지는 앞으로 지속적 개발이 될 것으로 보인다.

○ 본고에서는 현재 신 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3%의 전기만 발전하고 있는 영국에서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억새를 선정하여 이의 번식 방법과 수확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즉 나무와 같은 단기벌채시스템(SRC)을 지양하고 억새와 같은 해마다 수확할 수 있는 다년생 지하경초(PRG: Perennial Rhizomatous Grasses)인 PRG Miscanthus에 대한 개발 잠재력을 검토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 바이오매스 자원은 지리적 여건과 생태학적, 기후 기상학적 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만의 경쟁력 있는 바이오매스 확보 및 활용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특히 대부분 겨울철에는 휴경 상태에 있는 우리의 논밭에 대해서 비교 우위의 적용 방안 강구가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저자
C.J. Atkins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33
잡지명
Biomass and Bio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52~759
분석자
손*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