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시스템의 우주 응용 평가

전문가 제언

○ MEMS 기술을 우주 개발에 응용하기 위한 노력이 미국 NASA에서 1990년대 후반부터 활성화하기 시작하였다. 마이크로 분사제어 어레이(micro-thruster array)와, 공진기?필터?스위치 등 RF-MEMS 디바이스들이 대표적인 예이며, 지금도 개발과 실증시험이 지속되고 있다.

○ 여러 시스템에 MEMS 디바이스를 도입하는 배경에는 소형경량화, 에너지 절약, 고기능 콤팩트화, 가격 인하 등 MEMS의 이점을 시스템 이점으로 전환시키려는 데 있다. 휴대폰, 자동차용 센서, TI의 DLP 프로젝터와 같은 민생용 분야의 MEMS 디바이스에서는 이러한 패러다임이 어느 정도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 그러나 우주선이나 인공위성에서는 MEMS의 질량, 크기, 에너지 절감, 가격 인하 효과들이 크게 반영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우주선 내부의 우주적합성, 집적화 가격이 주요 결정요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MEMS와 크기와 질량에서 훨씬 작은 규모의 나노시스템(NEMS) 역시 우주 개발 분야에서는 응용을 위한 중간단계지만 핵심기술의 위치에 있지는 않다.

○ 미국과 우주 개발에서 경쟁 상황에 있는 유럽 역시 각국의 연구기관, 대학과 기업 단독 또는 컨소시엄을 통해 유럽의 우주 개발 프로그램용 RF-MEMS, 광-MEMS, 분광기, 자세제어유닛 등 MEMS 디바이스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활발히 진행시키고, 일부는 실용화하여 인공위성에 탑재하고 있고 나노시스템의 우주 응용 프로젝트도 추진되고 있다.

○ 이 논문은 결론적으로 나노시스템의 우주 개발 응용 예로서 “Smart Dust” 프로젝트에서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센서 네트워크 개념인 AUSSN(AUtonomous Smart Sensors Network)의 잠재적 응용 가능성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미 연구가 진행되어 온 이 센서 네트워크의 우주 응용과 적극적 사회 응용을 위한 노력이 바람직하다.
저자
Lise Bilhaut, LaurentDuraffour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9
권(호)
64
잡지명
Acta Astronautica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12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