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유주를 표적으로 하는 화학유전학
- 전문가 제언
-
○ 세포유주는 배(胚)의 형태형성, 조직의 재생 및 치류, 백혈구에 의한 면역감시 등에서 보게 되는 생체에 있어서 불가결한 현상인 것이다. 더욱이 암 전이에 있어서 암 세포의 침윤 등 여러 가지 병리적인 현상에도 깊이 관계되고 있다. 이 세포유주를 통제하는 분자 및 분자메커니즘은 아직 알지 못한 부분이 많다.
○ 세포유주에 필요한 세포골격의 재편성, 접착, 소포수송을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조절하고 있는 복잡한 통제메커니즘의 전모를 해명하는 데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다만 그의 한 부분을 이끌어내는 연구수법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것이 화학유전학(Chemical Genetics)인 것이다.
○ 지금까지 RKIP(Raf Kinase Inhibitor Protein)는 전입선암의 전이모델에서는 항전이적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서 Locostatin의 발견은 RKIP가 세포유주를 올바르게 통제하는 인자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복수의 세포종에서는 RKIP의 녹다운 실험이나 Locostatin 감수성의 해석에서 RKIP의 세포유주에 있어서의 역할은 세포종간에서 서로 다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RKIP를 강제로 발현시키면 E-cadherin의 발현량이 감소되며 β1 Integrin의 발현량은 상승하게 됨으로써 세포와 세포 사이의 접착은 소실하게 되며 세포와 세포질 사이의 접착은 증강하게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RKIP는 Raf-1을 비롯하여 B-Raf, GRK2 등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Phosphatidyl ethanolamine하고도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여러 가지 기능이 있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RKIP의 어떠한 기능이 세포유주 및 세포접착에 관여하고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더불어 Moverastin A에 관한 지견이 FTase 저해제의 항전이제로서의 응용 등이 앞으로 규명해야할 과제로 기대하게 한다.
- 저자
- Hiroki Kobaya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28(4)
- 잡지명
- 細胞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45~351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