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생리활성물질의 화학유전학
- 전문가 제언
-
○ 일본의 생명과학분야에는 자연물의 정밀분자구조와 생물활성에 관한 관심이 커서 많은 획기적인 업적을 보게 되었던 것은 생화학자나 생물학자가 화학구조식을 열심히 이해하여 생물활성 자연물의 충분한 활용을 이룩하였기 때문이다.
○ 자연물 연구에 관한 풍부한 축적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생물학 연구자가 이해하기 쉬운 방향과 자연물의 유기분자과학의 재구축이 필수로서 일본이 분자과학영역에 있어서 크게 뒤지고 있는 생물활성 자연물의 작용메커니즘 해명의 연구가 필수적인 것이다.
○ 자연물을 나타내는 생물활성을 표적단백질의 배열이라는 게놈정보로 번역하여 자연물의 정밀분자구조와 그의 표적단백질을 한 쌍의 정보로 이용함으로써 일본의 특징인 풍부한 자연물을 새로운 정보자원으로 하여 활용한 것 등이 발전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 생물활성 자연물을 이용하는 화학유전학(Chemical Genetics)은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되는 매력적인 영역인 것이다. 때문에 일본에서는 분자과학영역에 있어서도 크게 뒤져있는 생물활성 자연물의 작용메커니즘을 중요시 하는 연구가 성황을 이루고 있다.
○ 본 리뷰에 의하면, 식물의 리듬운동인 취면운동을 통제하는 화합물의 화학유전학(Chemical Genetics)의 연구가 일본에서 성황리에 전개되고 있다. 최신의 연구에서 생물활성 자연물을 두 광학이체성(Enantiomer)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Enantio·Differential 법 및 Click Chemistry를 적용한 단계적인 FLAG Tag 도입법으로 표적단백질 탐색과 식물생리활성물질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저자
- Minoru Ue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28(4)
- 잡지명
- 細胞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54~359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