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화학측정법의 도금분야 응용기술
- 전문가 제언
-
○ 국내 도금현장에서는 분극곡선, 과전압 및 임피던스 등의 체계화된 전기화학적 용어나 측정원리를 이해하여 도금작업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패러데이 1,2법칙을 이용하면 도금두께나 전류, 전압을 구할 수 있으며 도금액의 농도를 알면 전압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지수함수-로그의 전기화학적 Nernst 수식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동의 전극전위가 아연보다도 상대적으로 귀(noble)하기 때문에 금속아연은 전자를 방출하여 아연이온으로 산화되며 동은 전자를 받아 환원 석출한다. 전기화학적 산화환원반응의 이론을 실제로 현장도금액 분석에 적용하여 도금두께와 석출량 및 금속이온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 T. Yamashita 등은 전극전위, 전류-전위 분극곡선, 과전압 및 임피던스 등의 전기화학 측정법을 이용하여 전기화학 반응물질의 반응기구, 흡착거동, 표면특성 및 첨가제의 역할, 상호작용 및 전기화학 임피던스법의 측정원리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였다. 교류의 전달성질을 해석함으로써 넓게는 극간물질의 도전율의 측정, 좁게는 전극반응기구, 전기이중층 용량, 계면의 프로파일, 교환전류밀도 등을 측정함으로써 유기첨가제 흡착상태를 알 수 있었다.
○ 인쇄회로기판의 동 도금에서 도통 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산 농도를 높이거나 황산동 농도를 낮게 한 하이스로(High Throw) 도금액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정량적인 농도, 석출량 등 도금표면의 측정을 위하여 일본에서는 질량변화를 전기화학적 신호와 함께 측정하는 EQCM(Electrochemical Quartz Crystal Microbalance)과 나노수준의 질량변화 측정이나 비파괴 SECM(Scanning Electrochemical Microscopy)법으로 전극계면 전류-전위분포를 측정하고 있다. 이 전기화학측정법을 국내 도금현장에 응용적용 한다면 현장도금액관리와 제품신뢰성향상 및 정량분석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Tsugito YAMASHITA,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8
- 권(호)
- 59(12)
- 잡지명
- 表面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851~856
- 분석자
- 김*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