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의 바이오매스 에너지 생산 증진을 위한 에너지와 농업정책의 결합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 에너지정책 기여는 무역, 수송, 저장 등의 상업적인 에너지 활동에 관한 입법,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에너지 생산에 대한 가이드라인, 전환 및 효율과 공해표준에 맞는 사용, 세금 및 기타 공급정책, 에너지와 관련된 연구 및 개발, 에너지 경제, 일반적인 국제무역 협의 및 시장 형성, 에너지 다양성 및 에너지위기 가능성에 대한 리스크 인자에 대한 국제적인 조치를 취하게 된다.
○ 최근의 에너지정책은 에너지 공급 증가와 관련하여 청정 환경을 조성하는 데 친환경적 기술을 포함한 환경적인 문제에 주력하고 있다. 여기에는 더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대기오염 감소, 주로 CO2 공해로 인한 온실효과 감소 및 기후변화를 포함하고 있다. 지금의 석유정책에 주어진 과제는 정책 결정을 바이오디젤에 대해 시장 개방을 하는 것이다.
○ 바이오디젤은 생산비용이 높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환경 친화성 때문에 생산 공정이 전세계로 확산 보급되고 있다. 바이오디젤유의 전 세계 생산량은 1991년 11만 톤에 불과하였으나 1997년에는 128만6천 톤으로 11배 증가하였으며, 1998년에는 136만 톤, 2001년에는 150만 톤이 생산되었다.
○ 이 글에서는 대만은 교토협약에 대처하기 위해 미래에너지 및 산업개발 전략구성 국가 에너지 회의를 2005년 하계에 개최하였다. 국가 에너지 회의의 결론을 베이스로 한 확고한 행동계획 중 하나는 2010년 내에 총 소요에너지의 약 4% 또는 건설된 전력 용량의 약 500×107W 에너지에 대해 녹색에너지로 대체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 대만에서의 바이오연료 산업은 환경적인 이점으로 바이오에너지 작물에 상업적인 투자를 촉진시키게 되었고, 약 10만㏊의 유휴지를 개간하여 에너지 농장 수입을 증대시켰다. 그리고 한가한 시간을 도출함으로 인해 관광 산업을 부흥시켰고 또한 지역 바이오연료 생산으로 일자리를 만들고 이산화탄소 공해를 경감하였다.
- 저자
- Wen-Tien Tsa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13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495~1503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